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안녕하세요 한국건강관리협회입니다.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을 위해 받는 건강검진! 그런데 결과지에는 어려운 용어와 수치만 있을 뿐 무엇을 보는 검사인지 답답할 뿐입니다. 오늘은 간과 담도계 질환의 발견, 진단, 평가에 사용되는 ‘간기능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간기능검사

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1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단백질 합성, 각종 영양대사, 담즙 생산, 독성물질 제거 등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질환은 간에 손상을 주기도 합니다. 몇 가지 생화학 검사를 통해 간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간 기능 검사라고 합니다. 간기능검사결과해석

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2

-AST, ALTAST와 ALT는 가장 기본적인 간 기능 검사 항목에서 줄기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입니다. 줄기 세포가 손상되면 혈중 수치가 상승합니다. ALT는 주로 간에만 존재하지만 AST은 간장을 비롯한 심장 근육 세포 등에도 분포하며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ALPALP는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담즙 배설에 장애가 생기면 정상치의 2배 이상으로 급속히 증가합니다. ALP은 간장 이외의 뼈에도 다량 존재하므로 뼈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GGTALP와 마찬가지로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입니다. 담즙 배설 장애를 판단하는 데 쓰였고 음주, 비만, 울혈 심부전 환자도 수치가 상승하는 일이 있습니다.-빌리루빈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대사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물질로 체내의 빌리루빈 생성이 증가하거나 배설이 원활하지 않다는 혈중 수치가 상승합니다. 용혈성 빈혈 환자도 수치가 높은 관찰됩니다.-알부민, 총 단백질 알부민은 세포의 기본 물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1개입니다. 알부민과 단백질의 90%이상은 간장에서 합성되지만, 간의 기능이 저하하면 알부민과 총 단백질의 수치가 감소합니다. 신장 병, 만성 염증 질환, 영양 결핍 등에도 수치가 낮은 관찰됩니다.-LDHLDH는 조직이나 장기에 분포하는 효소로 장기 손상시에 혈청 농도가 상승합니다. 간 질환 외, 빈혈, 심근 경색, 백혈병, 감염증 등에도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일이 있습니다.-프로트롬빈 시간 혈액 응고는 적어도 13개의 응고 인자가 관여하는 작용입니다. 줄기 세포에 이상이 생길 경우 응고 인자 합성이 적고, 지혈에 지연이 나타납니다. 유전적으로 응고 인자가 결핍되거나 약물 복용시에도 작은 나타나는 일이 있습니다. 간 기능 검사의 정상치

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3

1.AST(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 : ~40IU/L2.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 : ~40IU/L3.ALP(알카라인인산분해효소) : 40~120U/L4.GT(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 남성 10~71U/L, 여성 6~42U/L5.Bilirubin(빌릴빈) : 0.1~1.2mg/dL6.6.6.6.6.6.6.6.6.

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4

각 수치는 성별, 연령, 의료기관, 검사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간기능검사 해석은 각각의 수치보다는 시간에 따른 변화나 각 항목 간 조합이 더 중요한 만큼 검사받은 의료기관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간기능검사결과이상

간기능검사 어떻게 해석할까? (+정상수치) 5

ASTALTALP Bilirubin 간염 증가 간경변 정상 또는 증가 담관 폐쇄 정상 증가 간 종양 정상 또는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정상 또는 증가 전격 간부전 증가 증가 증가일반적으로 간 기능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날 경우 위 질환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초음파 검사, CT 등을 실시하여 원인 질환을 찾아야 합니다. 추천 검진- 지방간건강검사 간기능검사는 물론 지방간을 체크할 수 있는 맞춤검진 프로그램입니다.기초검사 및 생리기능검사, 혈액질환검사, 당뇨검사, 고지혈증검사, 간기능검사, 간염검사, 간정밀검사, 상복부초음파검사, MRI(간MRI, 간MRE), 영양상담* 5개의 종합 검진을 받으면 간 기능 검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있습니다.간염 검사 후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있습니다.간염 검사 후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있습니다.간염 검사 후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 있습니다.간염 검사 후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적인 의견은 아닙니다.코로나19 국내발생현황 확진자 250,051명(1,487명 추가확인)21년 8월 3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26명, 해외 유입 사례는 61명이 확인되었으며 누적 확진자 수는 250,051명(해외 유입 13,512명)입니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3,75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6,482건(확진자 30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2,510건(확진자 64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2,749건, 신규 확진자는 총 1,487명입니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632명으로 총 220,358명(88.13%)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27,409명이 격리 중입니다. 중증환자는 396명, 사망자는 5명이고 누적사망자는 2284명(치명률 0.91%)입니다.구분집계결과 양성검사 중 결과 음성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8.29.(일) 0시 기준 13,015,927248,564218,72627,5592,279762,59412,004,768.30.(월) 0시 기준 13,049,684250,051220,35827,4092,284766,80712,032,826 변동+33,757+1,487+1,632-150+5+4,213+28,057구분집계결과 양성검사 중 결과 음성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8.29.(일) 0시 기준 13,015,927248,564218,72627,5592,279762,59412,004,768.30.(월) 0시 기준 13,049,684250,051220,35827,4092,284766,80712,032,826 변동+33,757+1,487+1,632-150+5+4,213+28,057새로 확진된 1,487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국내발생 확진자 현황(8월 30일 0시 기준, ‘2020년 1월 3일 이후 누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도 강원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 436 55 83 29 29 358 40229 3657 25 27 39 61 12 77,300 10,966 13,305 11,235 3,816 5,520 3,997 935 68,1022 5,253 4,938 6,539 3,3612,437 6,726 9,5952,514[해외유입 확진자 현황(8월 30일 0시 기준, ‘2020년 1월 3일 이후 누계)’구분 합계 (추정) 유입 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이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 단계 지역 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61148543029321744 누계 13,5121177,4861,908 3,026945305,8237,6897,0326,480 (0.9%) (55.4%) (14.1%) (22.4%) (7.0%) (0%) (43.1%) (56.0%) (52.0%) (50%)구분 합계 (추정) 유입 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이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 단계 지역 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61148543029321744 누계 13,5121177,4861,908 3,026945305,8237,6897,0326,480 (0.9%) (55.4%) (14.1%) (22.4%) (7.0%) (0%) (43.1%) (56.0%) (52.0%) (50%)구분 합계 (추정) 유입 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이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 단계 지역 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61148543029321744 누계 13,5121177,4861,908 3,026945305,8237,6897,0326,480 (0.9%) (55.4%) (14.1%) (22.4%) (7.0%) (0%) (43.1%) (56.0%) (52.0%)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