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장 질환에 대한 저단백 식단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만성신장질환이나 단백뇨 환자의 경우 저단백 식이요법이 필요하지만 말로 설명하기 어렵다. 막연하게 설명하고 단백질을 아예 안 먹으면 영양결핍이 올 수 있다. 저 또한 영양학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기 때문에 식사를 다양한 방식으로 생생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부분은 차차 공부할 예정입니다.)
한편, 신장학회의 ‘내 신장은 신장 신장’ 유튜브 채널 영상에 출연한 한 교수는 저단백 식단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때마침 외래 진료소의 한 환자가 저단백 식단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나도 못 먹어.”
“고기를 좋아하는데 먹기 싫어?”
어떻게 간단하게 설명할까 고민하다가 예전에 본 영상이 생각나서 치료중에 영상을 보다가 설명을 하게 되었습니다.
권장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 1kg당 1g 보지마.
하지만 저단백 식단이 필요한 만성 신장 질환 환자 체중 1kg당 약 0.6~0.8g단축 당신은 먹어야합니다. (반면, 투석 환자는 평소와 같이 체중 1kg당 1g의 단백질 식이가 필요합니다.)
        
        
만성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70kg의 환자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 사람의 체중은 70kg x 0.6g/일 = 42g/일입니다.
하루에 약 40g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합니다.
살코기로 지방을 제거하고 탁구공 크기로 만들면 40g 정도 됩니다.작동해야 합니다.
3끼로 나누면 3인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수량이 생각보다 적습니다.)
        
계란에는 약 7g의 단백질이 들어 있습니다.말하다.
        
두부 1/3개에 약 7g의 단백질 함유이것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런 개념으로 저단백 식단으로 접근한다면 일상생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2022/09/29 – (투석실 이야기) 식품이 안전한지 궁금하시다면 이 앱을 설치하세요
(투석실 이야기) 식사가 가능할지 고민이시라면 이 앱을 설치해보세요
(투석실의 역사) 식품이 안전한지 궁금하시다면 이 앱을 설치해보세요. 대한신장학회에서 영양전문가들과 함께 개발한 앱이 있습니다. “하이디”라는 앱입니다. 투석 전 앱 실행
sondoctor.co.kr

